-장치 파일(/dev) 디렉토리
리눅스 시스템에서 인식한 모든 장치들이 파일 형태로 존재하게 됨
블록 디바이스와 캐릭터 디바이스로 나뉘며, 블록 디바이스는 하드디스크 같은 주변장치
캐릭터 디바이스는 입출력이 한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며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읽고 쓰는 장치
-사용자 홈(/home) 디렉토리
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게 되면 /home 디렉토리 아래에 게정명으로 각각의 홈 디렉토리가 생성
ex) Yoon이라는 사용자를 생성하면 /home/Yoon 디렉토리가 생성됨
-라이브러리(/lib) 디렉토리
명령어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
동적 라이브러리 / 정적 라이브러리가 포함되어 있음
-응용 프로그램(/usr) 디렉토리
실행 가능한 명령어, 시스템 프로그램, 라이브러리 루틴 등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토리
윈도우의 C:\windows 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깔려 가장 많은 용량을 차지함
-사용자 실행 명령어(/usr/bin) 디렉토리
/bin 디렉토리에 포함되지 않은 대부분의 사용자 실행 명령어들이 포함되어 있음
리눅스 시스템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면 그 프로그램의 사용자 실행 명령어들이 존재
gcc나 perl 개발도구도 이 디렉토리에 위치하게 됨
-추가 시스템 명령어(/usr/sbin) 디렉토리
/sbin 디렉토리에 포함되지 않은 시스템 관련 명령어들이 포함되어 있음
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면 해당 프로그램의 시스템 실행 명령어들이 존재하게 됨
-헤더 파일(/usr/include) 디렉토리
C나 C++ 프로그램의 헤더 파일들이 존재함
-추가 프로그램 설치(/usr/local) 디렉토리
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대부분이 설치되는 디렉토리로 윈도우 C:\Program FIles와 비슷함
프로그램을 소스로 컴파일하게 되면 대부분의 관리자들은 관리의 편의상 이 디렉토리에 설치
하지만 RPM 패키지를 이용하면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/usr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분포도게 됨
-가변 자료 저장(/var) 디렉토리
리눅스에서 여러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면서 만들어지는 로그 파일이나 스풀 파일들이 존재하게 됨
아파치 웹 서버나 DNS서버, 메일 프로그램 등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됨
-프로그램 추가 설치(/opt) 디렉토리
리눅스에 번들로 제공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추가로 설치할 경우에 사용하는 디렉토리
주로 오라클을 설치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됨
-lost+found 디렉토리
디스크의 오류나 부적절한 시스템 종료에 의해 잃어버리는 파일을 위해 사용되는 디렉토리
리눅스 시스템이 부팅되며 fsck가 실행되어 잃어버린 파일을 찾아 lost+found 디렉토리에 지정하게
되며, lost+found는 한 파일 시스템에 하나만 존재하게 됨 즉 파티션 별로 하나의 lost+found를 가짐
※fsck 명령어
파일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복구하는 데 사용됨
파일 시스템의 일관성을 점검하고 손상된 파일 시스템의 많은 부분을 복구할 수 있으며,
다양한 옵션들을 제공함.
★주의할 것은 반드시 점검하고자 하는 파일시스템을 언마운트 해야 한다는 것